![](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hjDM/btqOjnHjUlN/G8wkQm6dN5nVNomAzlc07K/img.jpg)
" 당신의 직할강! 타인의 위화감을 조장할 수 있습니다! " 공익 보딩 협의회.. 턴 제대로 못하는 사람의 직할강은 '인간 어뢰' 지만 언제나 턴 모드로 진입 할수 있는 중급 라이더에겐 잠시 쉬어가는 벤치 일수 있습니다. 완만한 경사 5킬로 길이 용평 레인보우 패러다이스를 편히 내려 오려면 중간 중간 맘편히 보드 베이스 할강 만으로 내려올 줄 알아야 합니다. 주변 경치도 구경하고 옆으로 지나가는 스키어들과 눈인사도 해가며.. 잠시 잠시 엣지 먹어 들어가려 하면 미리 미리 풀어 주면서요.. 하지만 처음에는 연습 및 적응이 필요한 필수 기술 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GtoI/btqOeCdvLvE/chuZ6A3YNXWvlKVpeSA4nk/img.jpg)
이건 순수히 개인적 의견임을 전제 합니다. 그리고 알파인 보드로 느꼈던 점입니다. 해머는 별로 타보지 않았습니다. 특정 보드와 첨 친해지는 단계는 매우 어색할 수도 있죠.. 그래서 처음 시도하는 것이 흔히 엣지를 다 사용하는 롱 턴입니다. 보드 전체 플렉스 패턴도 알게 되는 계기 일수 있겠지만 이건 전문가들이 하는 얘기인듯 합니다. 잘 타고 갖 가지 보드를 많이 타본 이들... 그중 한사람 얘기 들어보면 ' 이 보드는 노즈가 좀 부드럽고 .... 이 보드는 허리가 부드러워 이렇게 타야하고 .. 등 ... 그 다음은 엣지 허리 부위를 주로 사용하는 숏턴이 될겁니다. 오해 마시길 카빙 숏턴은 아닙니다. 제대로 된 카빙 쇼턴은 좀 헛갈리고 매우 역동적인 비보이 비슷한 동작이 되겠죠.. 저는 제일 미묘하고 애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3Rub/btqOeCkiWAp/kSq44YLWNjCF2RKkXKE061/img.jpg)
친지에게서 빌려온 해머는 다시 반납했지만 신에겐 오래된 알파인이 있사옵니다. ㅎㅎ 한번 다루었듯이 해머 보드 노즈의 특이한 직선형 망치 모양 기원은 알파인 보드에서 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최대한 유효 엣지를 확보하려고 평상적으로 둥그런 노즈 모양을 포기하고 엣지를 최대로 확장한 것이죠. 둥그렇게 충분이 들린 듯한 이런 모양은 다소 쫀득한 눈으로 형성된 요철 구간에선 당연 유리 합니다. 요즘의 해머 노즈 보드가 이런 곳에서 열등한 스펙을 자연히 갖게 되는 이유죠.. 해머 유저들이 요새 선호하는 듯한 도넥이 오래 전에 알파인 주문 제작시 노즈 모양 옵션으로 해머 형상을 걸었던 기억이 납니다. 도넥은 일찌감치 프리스탈까지 확장하여 도태되지 않는 현명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제대로 왁싱하고 해머 보드를 충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Cz4O8/btqOizUlaaD/0L2bhd2wLk3Gu34JqfkxmK/img.jpg)
최근 약간의 내용 변화가 생겼어요 a : 작은 소품 쌕sack , 다이소 태생 그 안에 아래의 내용물들... b : 버튼 EST 툴, 아마도 저의 ' 내 툴 찾아 삼만리 ' 의 종착역 , EST 전용은 전혀 아님 c : 작은 숯돌과 껍질 버 제거용 , 껍질 없으면 쌕내 옆 동무들 기스 내서 지저분해짐 껍질은 다른 주머니칼 집.. d : 작은 줄자 스탠스와 셋백 확인용 e : Notwax 이건 비상용 왁스 대용 불소 성분에 의한 환경 오염은 이 정도론 크지 않음 확인, 프라이 펜 표면에 잇다 가열되면 생기는 듯 f : 여분 나사 바인딩 나사 눈속에 떨구고 찾기 놀이 하지 마세요... 케이스는 다이소 화장품 덜어쓰기 코너에 있어요. 보드 보관시 락lock 만 추가하면 해외 라이딩 여행때도 상시 지참 쌕으로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QPsa7/btqOdaHQN40/vWTosaoNVioxWK2rqpVJok/img.jpg)
다음 내용은 저에게 많은 정보들 준 alpinecarving.com 에서 발췌한 내용 입니다. 이전 소위 해머류 보드 없던 시절 알파인 보딩 중 주로 카빙carving 스타일 내용이며 한번 일부분 헝글에 올렸던 적 있습니다. 그 당시 알파인은 매우 허리가 좁고 스티프 stiff 하여 앞발 60도 이상 셋팅 하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이 사이트는 현재 아쉽게도 활동은 없어 업데이트 없지만 내용은 고맙게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네요. 그럴만도 한것이 공들인 엄청 세밀한 정보가 많습니다. 우연히 발견한 사이트인데 초두에 "이 바닥에 정설은 없다. 내 주장도 그대로 받아들여선 안된다 "하는 얘기에 솔깃 했었죠.. 로우 앵글 셋업은... 1) 발목 부위 누름pressure 을 많이 활용 할 수 있어 토 사이드 턴이 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VlJcF/btqNLP4XIYW/KYLDG3CXTmAkoKNrJpIHvk/img.jpg)
단편적으로 많이 다루었지만 종합하여 보통 프리스탈 보드 바인딩 각도에서 소위 '전향' 촌으로 이사가는 수월한 방법 하나는 1) 점진적 이행 2) 맞 비교 유리 3) 동일한 조건. 4) 셋백 Setback 추가 필요할 수도 5) 상체의 로테이션 정도 수정 1) 점진적 이행 : 한 번에 한 발씩, 보통은 앞 발 먼저 3-6도 전향으로 돌리고 시운전 타보고 그 다음 뒷 발이 따라가는 식으로.. 두발 차이가 40도 이상 되면 누구나 무릅 무리 가능성 생긴다네요. 당연하지만 앞발이 더 전향이 되게 되죠.. 이전 알파인 카빙 스타일은 5-10도 정도 차이를 줬던 것 같네요.. 2) 맞 비교 : 바인딩 툴을 항상 가지고 다니며 슬로프에서 즉석 변화 주고 차이를 음미하는 것이 기억 및 적응에 유리하여 덜 고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