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리프트 칸트는 스키 장비 셋팅에서 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처음 보드계에선 알파인 보딩 장비에서 주로 쓰이다가 해머류 장비가 유격이 적어지면서 stiff 여기에도 쓰이기 시작하는듯 합니다. 이 보정 장치들은  발, 부츠, 바인딩, 보드 사이사이의 인터페이스의 유격이 적어지면 약간의 불일치가 장비 자체 구부러짐등으로 보완되지 않아 그 틈을 매꾸는 역할을 하게 되죠.  가령 골격 구조상 어느 보드를 타면 무의식 적으로 뒷발 뒤금치를 들려는 사람이 있다면 뒷발 힐 리프트를 약간 넣어 올려주어서 보완하는 그런 기전 입니다.

  반대로 이걸로 유익한 자세를 유도하는 쪽으로 시도해볼수도 있으나 알파인으로 해보면 마치 다리가 약간 뒤틀린 듯해 매우 이상하기 십상이죠.. 견딜 사람이 많지는 않을 듯 합니다.

 

칸트cant 와 리프트 lift  용어에 대해 많은 혼란이 있으나

 제가 보기에느 칸트는 발의 엄지와 새끼발가락 단축의 기울기 변화 주기이고  그리고 리프트는 발의 힐 heel 과 토 toe의 장축 방향의 기울기 주기 로 보는 관점이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이건 자전거 페달 셋팅에 쓰이는 노란 칸트네요.안쫑다리 경향을 편하게 해주는 역할을 설명하는 듯 합니다. 노란색 칸트를 넣어서 힘의 방향이 바로 잡힙니다. 더 효율적으로 힘을 줄수 있고 무리가 덜 누적 되겠죠.

 

 그럼 어떤 칸트와 리프트를 해야 할까요?  정답이 없습니다.. 

  실지 같은 시간, 같은 슬로프, 같은 장비로 즉석 맞 비교해 봐야 약간 감을 잡을 수 있고  이것도 시간에 따른 실력 자세 흥망에 따라 달라 집니다. 게다가 원만할 불일치를 잘 못 느끼는 라이더와 약간만 달라도 느끼는 까탈 스러운 타입도 양존하구요.

 

  하지만 해서는 안되는 것음 몇 가지 있죠.

    1)  앞 발 힐을 높이는 리프트와 뒷발 힐을 높이는 리프트는 동시에 쓰지 않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앞 발 힐을 리프트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앞발 토만,  앞발 토와 뒷발 힐,  뒷발 힐만 하는데 뒷발 힐 만이 제일 흔하죠..

      2  칸트는 두발의 엄지 쪽이 내려가는 스타일로 장착하지 그 반대로 하지는 않죠.  이것도 한발만 해도 됩니다.

           간혹 뒷발만을 새끼발가락 쪽으로 경사 만드는 것을 쓰는 사람도 있어요.

 

 약간의 변화가 엄청난 변화를 만들수도 있는 매우 애매 모호한 영역 입니다.

 

       알파인 유명 프로보더였던 '시기Sigi ' 한 말이 맞는 이유입니다.

 

          " Don't copy anotherone's setup "   다른 사람의 바인딩 셋팅을 그대로 베끼려하지말라..

                   우리의  체형, 골격 구조 , 라이딩 스타일은 너무 고유 unique 하니까요..ㅎㅎ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